무릎 반월연골판(meniscus) 수술, 7년 새 19% 증가
-반월연골판 절제술 12% · 반월연골판 봉합술 65% 증가
-절제술 ‘10만 명당 154명’, 미국보다 9배 · 일본보다 7배 높아
-서울백병원 정규성 교수팀, 8년간 심평원 데이터 분석 “운동·보존적 치료 후 수술해도 늦지 않아”
무릎 관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반월연골판 수술은 정형외과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는 수술 중 하나로, 7년 새 19%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월연골판은 체중 부하 시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정규성·하정구 교수팀이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반월판연골 수술인 절제술과 봉합술 모두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월연골판 전체 수술 건수는 2010년 74,807건에서 2017년 89,035건으로 14,228건 더 많이 시행됐다. 반월연골판 수술 중 절제술은 2010년 65,752건에서 2017년 74,088건으로 12.6% 증가했다. 봉합술은 2010년 9,055건에서 2017년 14,947건으로 65%로 증가했다.
반월연골판 절제술을 가장 많이 시행한 연령은 50대로, 전체 수술 중 37.5%(27,850건, 2017년 기준)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는 60대 25.5%(18,937건), 40대 16%(11,902건) 순으로 조사됐다.
10만 명당 수술 건수를 환산한 결과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절제술은 2010년 10만 명당 137명에서, 2017년 10만 명당 154명으로 증가했다. 이는 미국(2011년 기준, 10만 명당 17건)보다 9배, 일본(2015년 기준, 10만 명당 22건)보다 7배 이상 높은 수치다.
봉합술도 10만 명당 수술 건수를 환산한 결과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봉합술은 2010년 10만 명당 18명에서, 2017년 10만 명당 31명으로 증가했다. 이 역시 미국(10만 명당 1.2건)보다 25배, 일본(10만 명당 7건)보다 5배 이상 높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반월연골판 수술 증가 비율은 봉합술이 절제술보다 높았으나, 절대 수치는 절제술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50~60대의 고령에서 시행되는 반월연골판 절제술의 시행건수가 미국, 일본 등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것이 본 연구의 주목할 만한 점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이 모든 국민을 상대로 한 국민건강보험 시스템이 갖춰져 있고, 관절수술병원의 증가로 의료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미국이나 일본보다 높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또한 수술 비용도 미국과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민간보험에 가입된 인구가 증가하면서 의료비 부담이 덜하고, 개인 실손보험이 많이 보급되면서 고가의 MRI 검사를 큰 부담 없이 시행할 수 있어 반월연골판손상 진단을 많이 할 수 있게 된 점도 반월연골판 수술 증가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정규성 교수는 “통증이나 불편감이 경미한 경우, 이물감이나 잠김 현상 등이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권하지 않는다”며 “퇴행성 관절염을 동반한 반월연골판 손상이나 퇴행성 파열의 경우에는 약물이나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정규성 교수는 “MRI 검사에서 파열이 보인다고 수술을 무조건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무릎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최대한 피하고, 체중을 감량해 무릎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고,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 공식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JKMS)에 게재됐다.
글,그래프: 홍보팀 송낙중 (학교법인 인제학원 경영기획국)
<참조> 절제술(14,228건)이 봉합술(14,947)보다 9배 이상 많은 이유?
봉합술은 반월연골판의 모양과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수술이지만, 봉합술을 할 수 있는 조건이 제한적이다. 봉합해서 조직이 잘 붙을 수 있는 위치여야 하고, 찢어진 모양이 깔끔하면서 조직이 건강해야 한다. 하지만 중년의 퇴행성 관절염에서는 찢어진 부위의 조직이 건강하지 못하고 퇴행성 모양으로 해져 있는 경우가 많아 봉합해도 잘 붙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당수의 경우 절제술을 하게 된다. 퇴행성 관절염과 동반된 퇴행성 반월연골판 손상에서는 관절경 수술이 큰 도움이 안 될 수 있으니, 수술은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백병원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 공황장애 환자, 공황발작 전 74% ‘스트레스’ 발생 (0) | 2020.11.18 |
---|---|
[연구] 무월경 여성, 비타민D 결핍 주의! ‘다낭성난소증후군’ 발병 위험 증가 (0) | 2020.11.02 |
[연구] “쯔쯔가무시병 걸린 아이, ‘가와사키병’도 함께 발병” 가능성 제시 (0) | 2020.10.14 |
[연구] 수은 노출 많은 청소년, 이상지질혈증 최대 4배 이상 유병률 증가 (0) | 2020.09.25 |
[연구] 한국 청소년, 100명 중 8명 ‘난청’ (0) | 2020.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