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백병원 논문

기면병, 국내 유병률 10만명당 8.4명 "매년 12% 증가"

백병원이야기 2024. 2. 23. 13:54

[연구] 나도 모르게 잠드는 '기면병', 15~19세 가장 많이 발생
- 기면병, 10만명당 8.4명 "매년 12% 증가"
- 국내 전체 인구 대상 '기면병 유병률' 첫 조사
- 지역별 기면증 유병률 분석, "서울 · 경기 · 충북 높고, 전남 낮아"
- 신경계 질환 '기면증' 약물치료 필요… 운전은 반드시 피해야



국내 기면병 유병률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가 나왔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신경과 박혜리 교수와 이서영 강원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희귀·난치성 질환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기면병 등록 현황 및 의료비 지출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기면병 유병률 2019년 10만 명 당 8.4명으로 조사됐다. 15~19세에서 10만 명당 32명으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다음으로 ▲20~24세 ▲25~29세 ▲30-34세 ▲10-14세가 그 뒤를 이었다.



남성은 10만 명 당 10.4명으로 여성(6.4명)에 비해 기면병 유병률이 1.7배가량 높았다. 기면병 발병 가능성이 있는 유병률은 10만 명 당 10.7명으로 조사됐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기면병 유병률은 10만 명 당 20~50명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시아 국가 중 홍콩에서는 10만 명 당 34명의 기면병 유병률이 나타났다.

기면병 유병률은 지난 6년간 매년 12.2%씩 증가했다.



의료비 지출도 2014년 21억원에서 2019년 41억원으로 증가했다. 전체 의료비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0.0035%에서 2019년 0.0043%로 크게 증가했따. 기면증 환자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2019년 960,833원으로 2014년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일산백병원 신경과 박혜리 교수는 "기면병 유병률 증가 추이는 기면병 등 수면장애에 대한 대중의 인식 개선과 수면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의료시설 증가 등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앞으로도 국내 기면병 유병률과 관련 의료비 지출이 현재보다 더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지역별 기면병 유병률도 분석했다. 서울(10만 명 당 1.65명)이 가장 높았고, 경기(1.16명)와 충북(1.12명)이 그 뒤를 이었다. 전남(0.33명)과 광주(0.40명)가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 기면병 유별률 차이의 정확한 원인은 확실하지는 않으나, 기면병 등 수면 장애 질환의 인식차이와 수면 센터 접근성, 농촌과 도시 지역 간의 일상적인 활동 패턴이나 직업적 특성 차이로 추정된다.



기면병은 밤에 충분히 잠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낮 동안 쏟아지는 졸음을 참을 수 없어 자신도 모르게 잠이 드는 수면장애다. 기면병은 낮 시간 졸음이 쏟아져 학업과 업무 등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일으키는 신경계 질환이다. 15~35세 청소년과 성인에서 흔하다.

 



일산백병원 신경과 박혜리 교수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신경전달물질인 '하이포크레틴'의 분비가 줄어 각성과 수면 조절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며 "기면병을 앓고 있다면 앉아 있거나 운전 중에 자기도 모르게 잠이 들 수 있어, 운전은 반드시 피하고 약물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면병은 2009년부터 국내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등록됐고 정부는 환자들에게 치료비를 보조해 주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대한신경과학회 영문 공식학술지 ‘저널 오브 클리니컬 뉴롤로지(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글: 일산백병원 홍보실 송낙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