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여성, 더 마르고 싶다
-저체중여성, 왜곡된 체형 인식 심각
-저체중 여성, 4명중 1명 다이어트 시도
-저체중 여성, 4명중 1명 정상체형으로 인식
-고소득 미혼 저체중여성, 다이어트 시도 가장 많아
-(저체중)여성 10명중 7명, 예뻐지기 위해 다이어트 시도
-(저체중)여성은 외모, 남성은 건강위해 체중조절 시도
안그래도 마른 몸매의 저체중 여성들이 더 날씬하고 예뻐지기 위해 체중조절(다이어트)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조영규 교수팀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5-69세 저체중(BMI 18.5 kg/m² 이하) 성인남녀 690명을 분석한 결과 여성은 4명중 1명(25.4%), 남성은 10명중 1명(8.1%)이 최근 1년간 체중조절을 시도한 적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저체중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정상체중이나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남성이 4.3%인데 반해 저체중 여성의 25.6%가 자신의 체중이 정상이나 비만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여성에서 왜곡된 체형인식이 심각한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또 미혼여성이 기혼인 여성보다 2배 많이 체중조절을 시도했으며 소득수준이 낮은 여성보다 높은 여성에서 2.6배 많이 체중조절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성질환이 없는 남성보다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남성의 체중조절 시도가 7.7배 높았다.
저체중여성의 다이어트의 원인으로는 더 나은 외모를 위해 체중조절을 했다는 응답이 69.2%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건강증진 27.1%, 질병관리 3.7% 순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은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체중조절을 시도하고 있다는 응답이 50.4%, 건강증진 24.7%, 더 나은 외모 6.4%로 조사돼 여성은 외모, 남성은 건강을 위해 체중조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체중조절의 목적이 극명하게 갈렸다.
조영규 교수는 “비만뿐 아니라 저체중에서도 골다공증, 폐 질환, 심혈관 질환 및 정신질환 등 질병 이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사망 위험률도 증가 시킨다”며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길이다"고 강조했다.
조영규 교수는 또한 “우리 사회가 비만에 대한 위험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으며 비만에 대한 편견과 낙인효과로 자신의 체중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여성들은 날씬한 체형이 매력적이고 건강한 체형인 것으로 왜곡된 신체인식을 갖고 있어 저체중인 여성들마저도 체중조절을 시도하게끔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 대규모 아시아 코호트 연구결과(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BMI가 30.1~32.5인 비만 사망위험률인 1.20보다 BMI 17.6~20.0인 저체중인 사람들의 사망위험이 1.35로 더 높았으며 BMI 15 이하인 초저체중 사람의 사망률이 2.76으로 고도비만 사망률인 1.49보다 높게 나타나 비만보다 저체중의 위험성을 강조한 연구결과도 보고된바 있다.
지나친 체중조절은 건강을 해치는 만큼 올바른 체형의 인식을 갖을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함께 사회분위기를 만들어 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는 대한가정의학회 학술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글: 홍보실 송낙중 (백중앙의료원, 인제대학교 백병원)
<참고자료>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 18.5 kg/m² 이하 저체중 23 kg/m² 이상 과체중
이번 연구는 정상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인 18.5-25kg/m²보다 낮은 18.5 kg/m² 이하인 성인남녀들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
'[연구]백병원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 거식증 치료 실마리 찾았다 (0) | 2014.02.27 |
---|---|
[연구] 손가락 길이로 폐기능 알수 있다 /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박이내 교수 (0) | 2014.01.20 |
[연구] 우유 안먹는 한국 어린이들, 칼슘 부족 심각 / 상계백병원 박미정 교수팀 논문 게재 (0) | 2013.11.19 |
[연구] RS바이러스 모세기관지염 발생 후 재발성 천명 예측지표 발표 / 상계백병원 천식알러지센터 김창근 교수 (0) | 2013.10.18 |
[연구] "세로토닌을 높여야 자살시도 낮춘다" 연구발표 / 일산백병원 박영민 교수 (0) | 201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