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전증 환자 당뇨 동반 시 '고혈압' 위험 '증가'
-당뇨가 있는 신부전 환자, 아침·야간 고혈압 위험 2배 증가
-아침·야간 고혈압, 장기손상과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 높여 ‘주의’
당뇨병을 앓고 있는 신부전증 환자가 고혈압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신장내과 오세원 교수팀이 21개 병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고혈압 환자 1천312명(당뇨 환자 439명 포함)을 대상으로 24시간 혈압을 측정해 분석했다. 그 결과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가 아침과 야간에 혈압이 더 많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과 야간에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평소와 다르게 2~6배 높게 장기 손상과 심혈관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어 특히 아침, 저녁의 혈압관리가 중요하다.
당뇨가 없는 신부전증 환자는 13.6%에서 아침 고혈압이 발생했으며, 당뇨를 동반한 만성신부전증 환자는 25.2%로 나타나 2배가량 아침 고혈압이 더 많이 발생했다. 야간 고혈압은 당뇨 동반 환자가 58.2%로, 동반하지 않은 환자(48.2%)보다 10% 더 많이 발생했다.
신기능이 저하될수록 고혈압 위험도도 증가했다. 2기인 조기 신부전증(사구체 여과율 60-89 ml/min/1.73m²) 환자에서 당뇨가 있는 경우 아침 고혈압의 위험도가 2.1배, 3, 4기 후기 신부전증(사구체 여과율 15-59 ml/min/1.73m²) 환자에선 아침 고혈압 위험도가 2.2배 증가했다.
야간 혈압 상승은 당뇨가 있는 만성 신부전 후기 환자의 경우 1.9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고혈압 기준은 수축기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인 경우지만, 24시간 혈압 측정 기준은 다르다. 24시간 혈압기로 측정해 낮 시간 혈압(오전 10시~오후 8시)의 평균값이 135/85mmHg 이상으로 측정되거나 밤 시간 혈압(자정~오전 6시)이 120/70mmHg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하기 때문에 이보다 혈압이 높은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 중 50% 정도를 차지하는 것이 당뇨이며, 그다음으로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으로 알려져 있다.
신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부종, 야간 소변 횟수 증가, 소변에 거품이 보이거나 소변이 붉거나 검게 보이는 등의 증상이 보일 수 있으나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신장 기능이 매우 저하되어 피를 걸러줘야 하는 치료 (투석)이 필요한 정도의 상태가 되면 오심, 구토, 식욕저하, 부종, 호흡곤란, 의식 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오세원 교수는 "연구결과 당뇨가 있거나 신기능이 악화되는 경우 아침 고혈압과 야간 혈압 상승의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두 가지가 같이 있는 경우 가장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만성 신부전 환자는 정기적인 혈액 및 소변 검사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오 교수는 또 “만성 신부전증 환자는 하루 5g 미만의 소금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염분 섭취를 많이 할 경우 고혈압, 비만, 대사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어 특히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저염분 식이가 강조된다”며 “저염식이를 할 수 있는 방법은 국물이 있는 음식(국, 찌개, 면류)에서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건져 먹는 방법, 라면 등의 인스턴트 음식을 먹지 않는 방법, 외식을 줄이기, 김치 등을 싱겁게 담그는 방법, 간을 할 때 소금 대신 간장이나 고추장 혹은 허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고혈압 연구(Hypertension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됐다.
글,사진: 홍보팀 송낙중 (학교법인 인제학원 경영기획국)
'[연구]백병원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 두통 소아·청소년 환자, 25% 변비 동반 / 상계백병원 유수정 교수 연구결과 발표 (0) | 2016.01.28 |
---|---|
[연구] 상계백병원, 산림체험 '청소년 우울·불안감 감소효과' 입증 (0) | 2016.01.28 |
[연구]상계백병원, ‘청소년 척추측만증’ 효과 높은 수술법 '증명’ (0) | 2015.12.21 |
[연구] 우울증 환자, 저녁형 자살위험 2배, 계절성 1.6배 높아 / 일산백병원 이승환 교수 연구결과 발표 (0) | 2015.12.21 |
[연구]여아 성조숙증 발생률, 지난 7년간 15배 증가 / 상계백병원 성장클리닉 박미정, 김신혜 교수 연구 (0) | 2015.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