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5

출생아 400만 명 분석 "임신 중 항생제 사용, 태아 신경발달 위험 없어"

"임신 중 항생제 사용, 태아 위험 없어" - 어린이 400만명 분석, 신경발달장애 위험성 없어  - 생후 6개월, 항생제 사용 주의 -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공동연구 참여 항생제는 산모와 어린이에서 감염 치료를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항생제는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불균형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임신부들이 태아 영향을 우려해 항생제 사용을 꺼리고 있지만, 국내 대학병원과 대학의 공동 연구결과 임신 중 항생제를 사용해도 태아 신경발달에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와 성균관대는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최아형 박사, 이혜성 연구교수)이 2009년부터 2020년까지 12년 동안 출생한 어린이 약 400만 명을 분석했다. 강원대..

[방송] KBS<생로병사의 비밀> 늦은 만큼 성숙한 고령임신·출산편 |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출연

[방송] KBS "노산이어도 괜찮아" 늦은 만큼 성숙한 고령임신·출산편출연: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우리나라 평균 초혼 연령은 2022년 기준 남성 33.7세, 여성 31.3세, 평균 초산 연령은 32.6세로 점점 늦어지고 있다. 국제산부인과연맹(FIGO)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한 노산의 기준은 35세로,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면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임신성 당뇨나 고혈압 등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와 함께 고령출산의 위험성에 관한 진실을 알아보자.  “내가 나쁜 엄마인가요?” 자연임신을 통해 마흔에 가까운 나이에 출산을 한 우보리 씨. 당시 본인에게 붙은 ‘노산 딱지’에 ‘혹시라도 내..

최악 기형유발물질 '여드름치료제' 안전사용 모색, 국회토론회

한정열 일산백병원 교수, '여드름치료제(이소트레티노인) 안전사용' 국회토론회 개최 - 최악 기형유발물질 '이소트레티노인', 임신부 복용 시 38% 기형유발 -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의사·변호사 등 전문가 9명 참여 '임신부 피해 예방법' 정책방향 모색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임산부약물정보센터 이사장)가 12월 2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리는 '이소트레티노인 안전사용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정춘숙, 인재근, 한정애, 서영석 국회의원과 사단법인 임산부약물정보센터가 공동주최했다. 토론자로는 임자운 법률사무소 지담 변호사, 김새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홍순철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산전약물상담 위원장, 김길원 연합뉴스 기자, 신경승 식품의약품안전처 ..

[영상] 30년간 '1만명' 출산집도,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가 알려주는 건강하게 임신하고 출산하기

[영상] 30년간 '1만명' 출산집도 '산부인과 명의가 알려주는' 건강하게 임신하고 출산하기 ◆ 주제: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출산 방법 ◆ 강사: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아무런 준비와 계획없이 하는 임신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임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마더세이프와 함께하는 안전하고 건강하게 임신하는 방법!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가 함께 합니다. - 임신 중 안전한 약물 사용 - 임신 중 절대 금기 약물 / 임신 중 상담사례 - 모유 수유 중 안전한 약물 사용 - 예비임신부부 관리 - 서울시 남녀 임신 준비 지원 사업 ※ 영상 자세히보기 ↓

임산부약물정보센터(한정열 교수), 안전성평가솔루션 업무협약

임산부약물정보센터-안전성평가솔루션 업무협약 체결 "임산부· 영유아 제품, 안전성 평가 기준 마련 앞장"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가 운영하는 (사)임산부약물정보센터(센터장 한정열)가 2월 8일 안전성평가솔루션(주)(대표이사 신희준)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임산부와 영·유아 제품의 안전성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데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임산부약물정보센터에서는 'TwoSafe' 로고를 활용, 임산부와 영·유아 제품의 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들이 임산부와 영·유아에게 악영향이 없도록 정확하고 엄격한 과학적인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가습기 사건으로 많은 임신부와 영·유아 사망, 근로 임신부에서 유산과 선천성기형이 다수 발생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