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산 13

임산부 10명 중 4명 요실금 발병, 왜 그럴까?

국내 임산부 10명 중 4명 요실금 겪어 "신체 활동, 사회적 관계, 정서적 안정 등 부정적인 영향 초래" - 질식(자연)분만‧제왕절개 동시 경험 여성, 요실금 발병 위험 23배 증가 - "질식분만 시 골반 근육 ‧ 골반 신경 손상, 요실금 발병 위험 높여" - 일산백병원 한정열 교수팀, 임산부 824명 분석 “국내 첫 임산부 요실금 발병 위험 분석”  임산부 10명 중 4명가량 요실금이 발병하는 것으로 연구결과 확인됐다.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팀이 2023년 4월부터 12월까지 3개 병원에서 임산부 824명을 조사한 결과, 40.2%(331명)가 요실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실금 유형으로는 운동이나 기침 등 신체 활동 중 자기도 모르게 소변이 나오는 스트레스성 요실금이 77...

병원 뉴스 2024.11.29

일산백병원 한정열 교수, '고령 임신 · 만성질환 임신부' 안전한 약물 사용 가이드 출간

일산백병원 한정열 교수,  출간 - '고령 임신 · 만성질환 임신부' 안전한 약물 사용 가이드 - 10년간 축척, 2천 가지 약물 안전성 등급 제공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가 센터장을 맡고 있는 한국마더세이프에서 11월 8일  신간을 출간했다. 이 책은 임신부와 모유수유부들의 안전한 약물 사용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가이드 도서다. 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가 지난 10여 년간 축적한 2천여 가지의 약물 안전성 등급과 약물 정보를 정리했다. 총 5개 주제로 ▲국내·외 임산부의 기형 유발 의약품 사용 관련 동향 ▲국내 임신준비 부부, 임신부 및 수유부의 다빈도 중요 질환의 선택 ▲임신 전 다빈도 중요 질환 ▲임신 중 다빈도 중요 질환 ▲모유수유 중 다빈도 중요 질환 등 임신 전·후 안..

일산백병원-국립중앙의료원, 11월 10일 '산모‧태아 건강' 조인트 심포지엄 개최

일산백병원-국립중앙의료원, 11월 10일 '산모‧태아 건강' 조인트 심포지엄 개최 - ‘임신부 질환·태아건강·출산정책·정신건강 등’ 15개 최신지견 발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국립중앙의료원, 한국마더세이프상담센터와 공동으로 11월 10일 ‘2024 산모 건강 이슈 조인트 심포지엄(Issues in Mother Safe Joint Symposium)’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신부 질환과 태아 건강 문제부터 출산정책, 성소수자, 정신건강, 약물 안전성 등 15개 최신지견을 발표한다. 1부에서는 ▲태아 소뇌 이상(홍성연 원장, 행복한병원 산부인과) ▲자간전증의 예방(오정원 교수, 순천향대 서울병원 산부인과) ▲전신성 홍반루푸스와 임신(윤보영 교수, 일산백병원 류마티스내과) 주제를 발표한..

병원 뉴스 2024.10.21

[방송] KBS<생로병사의 비밀> 늦은 만큼 성숙한 고령임신·출산편 |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출연

[방송] KBS "노산이어도 괜찮아" 늦은 만큼 성숙한 고령임신·출산편출연: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우리나라 평균 초혼 연령은 2022년 기준 남성 33.7세, 여성 31.3세, 평균 초산 연령은 32.6세로 점점 늦어지고 있다. 국제산부인과연맹(FIGO)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한 노산의 기준은 35세로,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면서 우려 섞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임신성 당뇨나 고혈압 등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와 함께 고령출산의 위험성에 관한 진실을 알아보자.  “내가 나쁜 엄마인가요?” 자연임신을 통해 마흔에 가까운 나이에 출산을 한 우보리 씨. 당시 본인에게 붙은 ‘노산 딱지’에 ‘혹시라도 내..

병원 뉴스 2024.08.20

일산백병원-국립중앙의료원, 2023 조인트 심포지엄 개최

일산백병원-국립중앙의료원, 11월 19일 '임산부 안전 문제' 심포지엄 개최 - ‘임산부 ‧ 신생아 건강 ‧ 출산 정책 등’ 15개 주제 발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국립중앙의료원, 한국마더세이프상담센터와 공동으로 11월 19일 ‘임산부의 안전 문제 조인트 심포지엄(Issues in Mother Safe Joint Symposium)’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산부와 태아건강 문제, 출산 정책 등 15개 주제를 발표한다. 1부에서는 ‘산모와 태아 건강’을 주제로 ▲태아 신경관 결손증(NTD) 진단 방법(홍성연 교수, 대구가톨릭병원 산부인과) ▲신생아의 문제점(황종희 교수, 일산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우리나라 임신부 의약품 안전성 연구(신주영 교수, 성균관대 약대) 주제를 발표한다. 2..

병원 뉴스 2023.11.08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역아회전술 '자궁억제제, 리토드린' 안정성·효능 입증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역아회전술 사용 약물, 자궁억제제 '리토드린' 안정성·효능 입증 - "'태아 심박수·응급 제왕절개 위험성·주산기 사망률' 위험성 증가 없어"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가 10월 17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26차 대한산부인과초음파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한정열 교수는 역아회전술 시 사용하는 자궁수축 억제제 '리토드린'의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해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역아회전술(태아둔위 교정술)을 시행한 407명의 산모에게 리토드린을 사용한 결과, 태아 심박수와 응급 제왕절개 위험성, 주산기 사망률, 출산관련 부작용 위험이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