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백병원 수면클리닉 "잠이 보약" [호흡기내과 최수전 교수]
옛부터 사람들은 잠을 죽음과 비슷한 것으로 생각하여 왔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수면의 신 히프노스(hypnos : sleep)는 어머니 닉스(Nyx : night)의 아들로 죽음의 신 타나토스(Thanatos : death)와 쌍둥이 형제이다. 히프노스는 햇빛이 영원히 비치지 않는 어둠의 동굴에 있는 궁전에서 산다고 한다. 그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영원한 잠(永眠)이라고도 하였다.
그래서 많은 의학자들이 수면을, 낮의 활동을 정지하고 쉬는 수동적인 인간의 생물학적 시간으로 간주하여 왔으며, 수면과 연관하여 나타나는 질환 즉 수면질환을 하찮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인간의 일생을 통털어 약 1/3의 시간을 차지하고 있는 수면은 실제로는 능동적이며 중요한 생물학적 기능을 하는 시간이다. 마치 동양의 음양 사상에서 나오는 것처럼 음은 만물을 키우는 어머니 역할을 하며 양의 이면에 있지만 양과 떨어질 수 없으며 음기가 제대로 뒷받침해주어야 양기가 살아날 수 있는 것이다. 서양의학에는 전통적으로 기능과 구조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험과 증명이 있어왔다. 예를 들어 이미 이천년전의 그리스 의학에서 개구리를 상대로 비슷하게 보이는 신경과 혈관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절단하여 보았을 때 다리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보고 신경을 구분하였다 한다.
근세의 끌로드 베르나르(1813-1878)가 실험의학을 정립한 것도 이러한 전통의 연장선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논리를 연장하면 실제로 잠을 잘 수 없게 한다면(수면박탈) 잠의 기능을 알 수 있다는 논리가 가능하다. 실제로 수일간 수면 박탈을 한 상태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실험한 예는 많이 있다. 수면 박탈 시간이 길어지면 졸리면서 논리적 사고를 하는 기능이 눈에 띄게 떨어진다.
복잡한 판단과 조작을 필요로 하는 운전이 특히 그렇다. 실제의 운전 환경과 유사한 운전 시늉(driving simulation)을 하는 실험에서 도로를 이탈하거나 충돌하는 횟수가 현저히 증가한다. 실제로도 고속도로 위에서 벌어지는 대형 차량에 의한 졸음운전 사고는 심심찮게 발생하고 발생할 경우 많은 사상자가 생겨난다. 이럴 경우 도로 위에 차바퀴 흔적을 보면 과속 사고에서 보이는 타이어 마찰 자국(스키드 마크)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속도 그대로 부딪히므로 사상자가 엄청나게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런 위험으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상업적 대형차량 운전자에 대해서 운전적성 검사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있는 경우 부적격으로 간주하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진단된 경우 적절한 치료(예를 들어 비강양압호흡치료)를 받는 다는 의사의 소견서가 없다면 운전면허 정지 상태를 풀어주지 아니한다.
실제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일상생활에 엄청난 어려움이 있다. 우선 잠을 자는 시간이 남들처럼 7-8시간 된다고 하여도 수면의 질이 엄청 낮기 때문에 자고 나도 상쾌하지 않다. 그래서 자고 난 다음 오전 시간 내내 머리가 무겁고 멍한 기분이 들고 중요한 회의나 위험한 작업 중에 졸지 않으려 해도 졸음을 이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머리가 맑지 않으므로 남들과 대화를 하거나 의사소통을 하는 순간에도 여유있게 남의 얘기를 듣고 이해하고 본인의 의사를 전달하기가 힘들어 진다.
그래서 화를 잘 내고 신경질적이 되어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있는 환자는 학생 때는 학업 성적이 오르지 못하고 사회생활 할 때는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않으며 직업 수행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없는 사람들과 비교하여 불 때 연봉에서 큰 차이가 난다는 점은 어쩔 수가 없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불가피하거나 불가항력적인 것은 결코 아니다. 바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 현상을 중단시킬 수 있는 치료가 있기 때문이다.
중등도 이상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인 경우 우선적으로 비강 양압 호흡 치료(nasal continuous positive pressure treatment : nCPAP : 시펩)를 시작하는 것이 교과서 적이다. 콧구멍을 통해 바람을 넣어 주는 양얍의 공급은, 수면시 숨길이 막히는 것을 풀어주고 정상적으로 호흡하게 만들어 준다. 비록 기계를 옆에 두고 자기 때문에 불편한 점이 조금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매일 밤 사용하여야 한다는 심리적 압박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평소 아침에 일어나면 머리가 개운하지 않고 낮에도 머리가 맑지 않고 졸려서 사회생활이 힘든 사람이 비강 양압 치료를 시작한 후 머리가 맑아지고 세상이 새롭게 보이기 시작하였다면 당연히 비강 양압 치료를 지속할 수 있는 동기가 유발되는 것이다. 중증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가 비강 양압을 하고 그 다음날 아침부터 머리가 맑아지는 새로운 경험을 한 다음의 느낌을, 역사에 많이 나오는 기독교도를 박해하기 위해 다마스커스(다메섹)로 가다가 길에서 회심하여 새 사람이 된 사도 바울의 회심 같은 느낌이라고 말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그 다음에 많은 환자들이 갖는 의문은 이대로 평생 비강 양압 호흡을 하여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2/3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비만이 동반된 경우가 많이 있다. 비만이 동반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인 경우 보통 몸무게의 10-15%를 감량한다면 비강 양압 치료를 하지 않게 될 만큼 호전되는 경우도 많이 있으며 고도 비만의 경우 베리아트릭 수술을 시행하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치유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비강 양압 치료를 한다고 하여도 1-2년에 걸쳐 장기적으로 천천히 체중 감량을 시행한다면 궁극적으로 비강 양압 치료를 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간혹 비강의 저항이 높으면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있는 경우 비강 저항에 관계되는 질환(비용종, 비중격 만곡)을 이비인후과적 수술로 해결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호전되는 경우도 많이 있는 편이다.
조금 더 적극적으로 숨길과 관계된 상기도 주변의 연조직과 근육, 혀 그리고 턱뼈 등을 손 보는 수술을 시행한다면 수술만으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치유하는 경우도 있다. 궁극적으로 숨길의 근육과 호흡조절에 관계되는 부위를 강화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을 없앨 수 있는 먹는 알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만일 이것이 가능하다면 다른 모든 치료방법을 대신하여 ‘꿈의 알약’이 될 것이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증상에 대한 병력 청취가 있어야 하고, 다음으로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관계되는 신체 부위(비강,구강 등)에 대한 진찰이 있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엑스선 사진, 혈액 검사 등이 필요하다. 그것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 중에 갑상선 기능 저하증, 말단비대증 등의 내분비질환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이 흔히 같이 동반되기 때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야간 수면시 일어나는 무호흡 등을 확인하기 위한 야간 수면검사이다.
야간 수면검사는 뇌파검사, 근전도 검사, 호흡/심전도 감시 등을 포함한 수면다원검사와 뇌파검사를 생략한 단순화 수면검사 등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수면 무호흡과 이에 따르는 산소 포화도의 저하와 각성을 포착이 가장 중요하며 무호흡/산소포화도 저하 정도에 따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판정하여 치료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로 삼는다. 실제로 정상인의 수면과 경증, 중등증, 중증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검사 결과는 눈으로 볼 때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이러한 병력/신체진찰소견과 수면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 개개인에 따른 맞춤 치료를 하는 것이 치료의 원칙이다.
다음의 8가지 항목에 0-3점까지 점수를 매겨 보세요.
전혀 졸지 않는다 : 0점
간혹 졸 때가 있다 : 1점
자주 졸고 있음을 느낀다 : 2점
거의 언제나 졸고 있음을 경험한다 : 3점
1. 앉아서 글을 읽을 때
2. 텔레비전을 볼 때
3.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 있을 때
4. 승객으로 차를 타고 갈 때
5. 오후에 쉬려고 누워 있을 때
6. 앉아서 누군가와 이야기 할 때
7. 점심 식사 후 가만히 앉아서 쉴 때
8. 운전 중 잠시 정차했을 때
일생 생활에서 얼마나 졸리는 가를 나타내는 주관적 척도의 하나로 쓰이는 엡워스 기면도가 있다. 간단하지만 중요한 척도이므로 스스로 점수를 매겨 10점 이상이 된다면 졸림증이 의학적으로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글,사진: 상계백병원 호흡기내과 최수전 교수, 백병원 홍보실 송낙중
'[정보]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섭식장애(식이장애) -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김율리 교수 (0) | 2009.02.27 |
---|---|
[대학병원 의사가 알려주는 건강정보] 감기와 독감의 차이 (0) | 2009.02.26 |
상계백병원 심장혈관센터 부정맥클리닉 [박경민 교수] (0) | 2009.02.23 |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조영규 교수] 이것도 병인가요? (0) | 2009.02.19 |
[대학병원 의사가 알려주는 건강정보] 춘곤증과 피로 (0) | 2009.02.19 |